티스토리 뷰

우리나라에는 알게 모르게 복지 혜택이 굉장히 많다. 그러나 모든 국민에게 동일한 복지 혜택을 제공하기에는 예산의 제약이 있어 쉽지 않다. 따라서 소득을 기준으로 저소득층에게 더 많은 복지 혜택이 제공 되고 있는데 소득 기준의 근거가 되는 자료가 기준 중위 소득이다. 

기준 중위소득

기준 중위소득이란?

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 및 복지 급여 등 정부 지원 기준으로 활용하기 위해 대한민국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순위를 매기어 정확히 가운데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말하며 매년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하고 있다.

기준 중위소득 100%라고도 불리며, 통상적으로 이들을 중산층이라고 부르지만 물가를 반영하지 않아 현실과는 괴리가 있다.

기준 중위소득기준 중위소득
기준 중위소득

무튼 정리하면, 기준 중위소득은 대한민국 모든 가구의 소득 순위 중 정확히 중간값을 의미하며, 중위소득 100%라고도 한다. 따라서 신청하려는 복지 혜택의 자격요건 중 중위소득 50% 이하라면 기준 중위소득의 100% 값에서 50%를 의미 하며, 120%이하라는 것은 역시 기준 중위소득에 1.2를 곱한 값이라 생각하면 되겠다.

예를 들어, 2023년 중위소득 100%의 1인 가구 소득이 2,077,892원 이다. 긴급 복지 지원을 받고 싶어 자격요건을 보니 중위소득 75%라고 한다. 신청자가 자격 요건을 충족하려면 한다면, 2,077,892 * 75% = 1,558,419 이하의 소득만 있다면 자격 요건이 된다는 의미이다.

기준 중위소득기준 중위소득
기준 중위소득

따라서 지원하려는 복지 제도가 기준 중위소득의 몇 퍼센트 이하의 소득계층을 지원하는 것인지만 알면 기준 중위소득 100%값에 곱하기만 하면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. 아래는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00%의 소득을 정리한 표이다.

가구원 수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
중위소득 100% 2,077,892 3,456,155 4,434,816 5,400,964 6,330,688 7,227,981

 

기준 중위소득표

복지 제도를 알아보고, 본인이 그 제도의 자격 요건에 맞는지 확인하는 것 보다 본인 소득에 맞는 복지 제도를 검색할 수 있도록 아래 표로 정리했다.

본인의 소득이 기준중위소득 대비 어디에 있는지 확인하고, 해당되는 복지 제도에 지원해 도움이 되길 바란다.

가구원 수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
중위소득 150%
(서울 친인척 아이돌봄수당)
3,116,838 5,184,233 6,652,224 8,101,446 9,496,032 10,841,972
중위소득 120%
(청년국민취업)
2,493,470 4,147,386 5,321,779 6,481,157 7,569,826 8,673,577
중위소득 100%
(중창년 취성패
재난적 의료비
경기형 긴급복지)
2,077,892 3,456,155 4,434,816 5,400,964 6,330,688 7,227,981
중위소득 85% 1,766,208 2,937,732 3,769,594 4,590,819 5,381,085 6,143,784
중위소득 80% 1,662,314 2,764,924 3,547,853 4,320,771 5,064,550 5,782,385
중위소득 75%
(긴급복지지원)
1,558,419 2,592,116 3,326,112 4,050,723 4,748,016 5,420,986
중위소득 72%
(청소년한부모자립지원패키지)
1,496,082 2,488,432 3,193,068 3,888,694 4,558,095 5,204,146
중위소득 70%
(가사,간병방문)
1,454,524 2,419,309 3,104,371 3,780,675 4,431,482 5,059,587
중위소득 65%
(청소년한부모급여)
1,350,630 2,246,501 2,882,630 3,510,627 4,114,947 4,698,188
중위소득 60%
(한부모,조손가족 급여
취성패
국민취업
청년월세)
1,246,735 2,073,693 2,660,890 3,240,578 3,798,413 4,336,789
중위소득 50%
(기초생활,차상위
국민취업제도)
1,038,946 1,728,078 2,217,408 2,700,482 3,165,344 3,613,991